1.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데이터를 클라우드나 중앙 서버가 아닌, 데이터가 생성되는 엣지(Edge)에서 직접 처리하는 컴퓨팅 방식사용자 또는 기기와 가까운 곳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여 속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는 기술이다.초저지연(Low Latency): 데이터 이동 없이 로컬에서 즉시 처리 네트워크 부하 감소: 대용량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보내지 않음 보안 강화: 중요한 데이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 실시간 반응: 자동차, 헬스케어, 산업 자동화 등에서 즉각적 대응 가능 2. 클라우드 컴퓨팅 vs 엣지 컴퓨팅 데이터 처리 위치사용자 근처 (로컬 디바이스, 엣지 서버)원격 데이터센터 응답 속도빠름 (실시간 처리)상대적으로 느림네트워크 부하적음많음 (데이터 전송 필요)보안..
Computer Science/Server&Network
1.CDN(Content Delivery Network)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이용해 콘텐츠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웹사이트의 데이터(이미지, CSS, JavaScript, 동영상 등)를 원본 서버에서만 제공하면, 사용자가 원본 서버에서 멀리 있을 경우 속도가 느려지고 서버 부하가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보장한다.Cloudflare – 보안 및 속도 최적화 기능 제공AWS CloudFront – Amazon Web Services 연동 최적화Akamai – 기업용 고성능 CDNFastly – 초고속 엣지 컴퓨팅 지원 2.엣지 서버(Edge Server)CDN 제공업체가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배포한 캐시 서버로 사용자의 요청을..
1.request GET /example-page HTTP/1.1Host: www.example.com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91.0.4472.124 Safari/537.36Accept: text/html,application/xhtml+xml,application/xml;q=0.9,image/webp,*/*;q=0.8Accept-Encoding: gzip, deflate, brAccept-Language: en-US,en;q=0.9,ko;q=0.8Connection: keep-aliveAuthorization: Bearer eyJhbGciOiJIUz..
1.WS(Web Server)클라이언트(주로 브라우저)의 HTTP 요청을 받아 정적 콘텐츠(HTML, CSS, JavaScript, 이미지)를 제공하는 서버.(Apache HTTP Server, NGINX) 2.WAS(Web Application Server)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동적 콘텐츠 생성 및 비즈니스 로직 실행을 담당하며,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요청에 맞는 결과를 반환하는 서버(Tomcat, JBoss, WebLogic) Client → Web Server (WS) → Web Application Server (WAS) → Web Server (WS) → Client Client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냄Web Server가 정적 콘텐츠를 처리하거나 동적 요청을 WAS로 전달WAS에서..
1.NGINX고성능 웹 서버이자 리버스 프록시 서버로, 높은 요청 처리 능력과 효율적인 리소스 사용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Apache와 비슷한 역할로, 정적 및 동적 콘텐츠 처리하고 백엔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위치하여 보안 및 성능 향상한다.클라이언트 → NGINX(리버스 프록시) → WAS(Tomcat, JBoss 등) → 데이터베이스https://nginx.org/en/ nginxnginx nginx ("engine x") is an HTTP web server, reverse proxy, content cache, load balancer, TCP/UDP proxy server, and mail proxy server. Originally written by Igor Sysoev and dist..
1.P2P(Peer-to-Peer)네트워크 구조의 한 형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전통적인 중앙 집중식 연결 방식과 달리, 각 참가자가 "동등한" 역할을 하여 데이터를 직접 교환하는 방식모든 노드가 다른 노드들과 직접 연결되고, 이를 통해 파일을 공유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2.토렌트(Torrent)P2P(Peer-to-Peer) 파일 공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파일 전송 시스템토렌트는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여러 사용자들 간에 파일을 분산적으로 다운로드하고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파일을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공유한다. 3.P2P(Peer-to-Peer) 위험성P2P 네트워크에서 서로가 서버이자 클라이언트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IP 주소가 공..
1.소켓(Socket)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통신 지점이다.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이용해 연결을 설정하고, 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1-1.소켓 주소소켓은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조합으로 고유한 주소를 형성한다.IP주소:포트번호 1-2.소켓 주소 구조체소켓 주소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소켓을 생성하고 연결하거나 바인딩할 때 사용된다.struct sockaddr_in { sa_family_t sin_family; // 주소 패밀리 (AF_INET) in_port_t sin_port..
0.개요OpenAPI라는 용어를 가끔한번씩 듣게 되는데 이 기회에 OpenAPI가 뭔지 정확하게 알기 위해 찾게 되었다. 1.OpenAPIOpenAPI는 API의 사양(Specification)을 정의하는 표준을 의미한다.RESTful API를 설계하고 문서화할 때 사용되며, API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떤 요청을 받을 수 있는지, 어떤 응답을 반환하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역할을한다.즉 OpenAPI는 API를 문서화 하기위해 사용하는것이다.Swagger UI, Redoc같은 API 문서화 도구를 만들때 해당 Open API 표준을 이용하여 만든다. 2.OpenAPI 형태OpenAPI는 YAML 또는 JSON 형식으로 작성되고 Swagger UI, Redoc같은 문서화 도구는 해당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