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Tools/AWS

1. 계기개인 SpringBoot 프로젝트를 AWS에 Ec2에 배포도 해보고, 공부해보며 AWS 인프라에 대해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하고있었는데, 그때 마침 학교에서 여름방학에 진행하는 AWS 자격증 취득과정에 참여해 보기로하였다. 2.사전 지식AWS에 대한 지식은 거의 없는 수준에서 학습을 시작하였다.작년 AWS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시도했었는데, 혼자 공부하다가 인터넷에서 큰 금액이 과금 되었다는 글들을 보고 겁먹고 계정을 비활성화해두고, 추후에 공부하기로 마음먹었었다. 3.실습내가 직접 AWS에서 실습해봤던 내용은 EC2에 SpringBoot 서버를 배포하고 보안규칙을 설정하는 정도였다.그래서 이번 기회에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실습을 진행해봤다.(AWS SAA 서비스 범위가 많아서 다하지는..
1. AWS 설정AWS 설정은 프리티어에 맞게 설정하였고 아래는 보안그룹 및 EC2 설정 내용이다.AWS EC2OS: Ubuntu인스턴스: t2.micro스토리지: 20GB 2. 배포 시도 1(실패)배포는 Docker을 통해 시도할것이기 때문에 EC2내부에 Docker 패키지를 설치해줬다.//Ubuntu 시스템의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sudo apt update//Docker 패키지 설치sudo apt install -y docker.ioDocker 설치확인Docker Compose를 통해 실행 할것이므로 Docker Compose를 설치해주고 권한을 설정해준다.// Docker Compose 설치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lat..
1.LambdaAWS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컴퓨팅 플랫폼컴퓨팅 시간, 용량에 대해서만 AWS에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코드 용량이 최대 250MB 이다.함수 실행 시간은 최대 15분이다.(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실행할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 플랫폼)
1.서버서버(Server)는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Client)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한다.서버는 웹 페이지 제공,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이메일 송수신 등의 역할을한다.    2.리전리전(Region)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특정 지리적 위치에 데이터 센터를 묶어 놓은 단위이다. 리전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여러 데이터 센터를 포함하여 서비스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사용자들은 서비스 요구에 맞춰 가까운 리전을 선택하여 지연 시간과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3.가용 영역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은 클라우드 리전 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의 집합이다. 각 가용 영역은 별도의 전력, 냉각,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어 하나의 ..
1.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물리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는 모델로, 비용 효율적이고 유연성이 뛰어나다.    2.서비스 모델2-1.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 등 기본적인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사용자는 운영 체제를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등 인프라의 많은 부분을 직접 관리한다.ex)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2-2.PaaS (Platform as a Service)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에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아사_
'Development Tools/AW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