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pentutorials.org/course/3332/21028
생활코딩님의 Node.js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
scheme://hostname:port/path?query#fragment
1. Scheme (스킴)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나타냅니다.
웹 브라우저나 클라이언트가 URL을 해석할 때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http, https, ftp, mailto
2.Hostname (호스트 이름)
자원이 호스팅된 서버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를 나타냅니다.
서버의 위치를 식별합니다. 브라우저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서버와 연결을 시도합니다.
www.example.com, 192.168.1.1
3.Port (포트)
서버의 특정 서비스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 번호를 나타냅니다.
기본 포트가 아닌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명시적으로 지정하여 해당 포트로 요청을 전달합니다.
:80 (HTTP의 기본 포트), :443 (HTTPS의 기본 포트)
4.Path (경로)
서버에서 자원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서버 내의 특정 파일이나 리소스를 가리킵니다. 디렉토리 구조와 유사하게 동작합니다.
/index.html, /images/photo.jpg
5.Query String (쿼리 문자열)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됩니다. 키-값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 시작하여 여러 쿼리 매개변수를 &로 구분합니다.
?search=nodejs&sort=asc
6.Fragment (프래그먼트)
문서 내 특정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식별자입니다. #로 시작합니다
#section2
반응형
'BackEnd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URL 을 통해 입력값 사용 (0) | 2024.08.14 |
---|---|
[Node.js] 웹 서버 만들기 (0) | 2024.08.13 |
[오류][Node.js] gh-pages작동 실패 (0) | 2024.07.05 |